필리핀 자전거 시장 동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필리핀 자전거 시장
대나무 등 친환경 재료를 이용한 자전거 유행

필리핀에서 자전거는 서민들의 주요 교통수단 중 하나로, 필리핀은 자전거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국가 중 하나로 손꼽힌다. 최근 대나무를 활용한 친환경 자전거 등 다양한 변화가 시장 내 일어나고 있다.

필리핀 자전거 시장 동향

필리핀은 연평균 약 백만 대 이상의 자전거 판매량을 기록하며 크게 성장하고 있다. 필리핀에서 자전거는 서민들의 주요 교통수단 중 하나로, 많은 사람들이 일상 이동에 자전거를 이용하고 있다. 특히, 자전거 시장은 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대도시인 마닐라와 세부에서 수요가 가장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필리핀에서 자전거의 주 용도는 일상적인 이동이고, 추가적으로 관광지 내 자전거 여행 투어 및 관광이 이동 서비스에도 자전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지난 몇 년 간 팬데믹 기간을 거치면서 필리핀 자전거 시장은 더욱 성장했다. 팬데믹 기간 동안 필리핀 정부가 대중교통 운영을 일시적으로 중단하자 사람들이 대체 수단으로 자전거 구입을 확대했으며 이후에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해당 기간 동안 정부에서는 대중교통 운행 중단으로 인해 출근에 어려움을 겪는 정부기관 및 의료 종사자들을 위해 자전거를 공급해주며 자전거 보급이 더욱 확대되었다.

또한, 필리핀 정부는 필리핀의 고질적인 교통체증을 해결하기 위해 자전거 이용 확대를 권장하고 있다. 필리핀 정부는 필리핀의 고질적인 교통체증 문제를 개선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2014년 자전거도로사무소(Local Bikeway Office)를 개설했다. 이후 정부는 국내 522.73㎞ 자전거 도로망을 건설하기 위해 13억 페소를 할당하고 건설 중인 것으로 밝혔다.

<자전거로 출근 중인 필리핀 사람들>

[자료 : 현지언론(Business World)]

친환경 자전거 트렌드

최근 필리핀에는 친환경 소재로 제작한 ‘그린 사이클’이 유행이다. 그 중 천연 대나무와 아바카 재료로 만든 ‘밤바이크(BalmBike)’는 지속가능한 자전거 브랜드로 주목받고 있다. 밤바이크는 지역사회 개발단체인 가와드 칼링가의 장인들이 현지 대나무와 아바카를 재료로 수작업으로 만든 자전거이다. 밤바이크는 마닐라의 대표 관광지인 인트라무로스 관광 이동수단으로 이용 되며 인트라무로스 관광지 필수 코스로 자리 잡았다. 특히, 외국인 관광객들은 밤바이크를 타고 넓은 관광지인 인트라무로스 내 구석구석을 다니며 랜드마크를 둘러보고 있다. 이처럼 필리핀 내 다양한 사회적 기업들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의 친환경 재료로 만든 자전거 개발이 주목받고 있다.


<인트라무로스 내 밤바이크 모습>

[자료 : 현지언론(Wheel.ph)]

자전거 수입 및 판매브랜드 동향

2022년 필리핀의 자전거 총 수입액은 3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59.1%의 감소세를 보였다. 이는 2020~2021년 팬데믹 기간 동안 폭발적으로 자전거 구입량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이후 2022년 코로나 상황이 종료되며, 일시적으로 자전거 수요가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필리핀의 1위 자전거 수입국은 중국으로 2022년 약 2500만 달러를 수입하여 전체 수입량의 약 80% 이상을 차지했다. 2위 수입국은 일본으로 지난해 144만 달러를 수입했고, 3위 수입국은 대만으로 같은 해 130만 달러를 수입했다. 한국은 필리핀의 4위 자전거 수입국으로 2022년 32만 달러를 수입했고 전년 대비 수입량이 -4.1%로 감소했다. 한국의 뒤를 이어 베트남, 말레이시아, 홍콩 등이 비슷한 수입량을 보이고 있다.

<필리핀 자전거(HSCODE : 8712.00) 수입동향>
(단위: USD, %)

[자료: KITA무역협회]

필리핀에 수입되는 경쟁국의 자전거 브랜드는 아래와 같다.

<필리핀 자전거 브랜드>

[자료: Glorious Ride Bike Shop (https://www.facebook.com/GloriousRideBikeShop/)]

시사점

현지에서 자전거 부품을 유통하는 A씨는 필리핀 자전거 시장은 앞으로도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필리핀 내 자전거 가격 및 수요는 저가부터 고가까지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고 자전거 악세사리 및 부품 시장도 함께 성장하는 중이라고 언급했다. 또한,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친환경 정책을 강조하는 정부 정책과 트렌드도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이라 강조했다. 이에 따라 필리핀 진출에 관심있는 자전거 또는 관련 악세사리, 부품기업은 필리핀 시장의 지속적인 진출 노력을 기울이고 친환경 마케팅을 통해 판매 확대를 할 필요가 있다.

자료 : 필리핀 교통국(LTO), 현지언론, KITA, 마닐라무역관 자료 종합
<내용 출처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저작권자 ⓒ 인포플러스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