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내 도로건설 인프라 확대에 따라 석유아스팔트 시장의 안정적인 성장이 예상
정부정책에 따라 석유화학산업의 경쟁력 제고, 친환경, 탄소절감을 최우선과제 추진 예상
상품명 및 HS코드
제품 기본정보
석유아스팔트는 원유를 가공하는 공정에서 생겨난 부산물의 일종으로 상온에서는 흑색(또는 흑갈색)의 점성 액체, 반고체 또는 고체 형태를 지니게 된다. 주로 트리클로로에틸렌(Trichloroethene)에 용해되는 탄화수소 및 비탄화수소 유도체를 함유하고 있으며, 성질과 구성은 원유 공급원과 생산 방법에 따라 달라진다. 석유 아스팔트는 기초 건설 자재나 각종 원료 및 연료 용도로도 사용되며, 교통 분야(도로, 철도, 항공 등), 건설업, 농업, 수리공정, 공업(채굴업, 제조업) 등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시장규모 및 동향
중국의 아스팔트 생산량은 매년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이다가 최근 하락세를 보였다. 중국 정부 등에서 발표한 아스팔트 생산량 추이에 따르면, 2016년 3264.9만톤에서 2020년 6279.6만톤으로 92.3% 증가했고, 년 평균 18.2%의 성장세를 보였다가, 2021년 생산량은 5551.7만톤으로 전년 대비 11.59% 감소하였다.

또한 도로 등급수준이 지속적으로 상향됨에 따라 도로용 아스팔트에 대한 등급 기준요구도 동반 향상되고 있으며, 보통도로용 아스팔트나 교통도로용 아스팔트에서 개질 아스팔트 쪽으로 수요가 이동되고 있다.
개질 아스팔트(改性沥青) : 재료, 화합물 혹은 기타 성분제를 첨가하거나 화학가공처리를 통해 아스팔트 혼합물의 성능/성질이 개선되도록 한 것
[자료 : 바이두(百度)]

정책동향(석유화공)

경쟁동향
중국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 국내 도시화의 진전, 자동차 이용 증가 등에 따라 도로교통 인프라가 지속 확대되어왔고, 중국의 석유아스팔트 산업은 급속한 발전을 보여왔다. 관련 시장 기회와 큰 발전 잠재력은 지속적으로 중국 내 민영 자본과 다국적 기업의 진출의 유인으로 작용했다.
석유아스팔트 산업은 기본적으로 대체 제품 관련 위협리스크 요소가 적은 편이지만, 진입 장벽이 낮고 동종 업계간 치열한 경쟁을 보이고 있다. 현재 중국 석유아스팔트 업계 주요 기업으로는 글로벌 메이저 오일(oil)회사, 중국의 대형 석유화학 회사, 석유아스팔트 제조 전문업체 등이 있다. 그 중 글로벌 메이저 오일회사는 자본, 브랜드, 기술 분야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중국 시장에서는 일반적으로 합작투자 또는 중국 투자 자본 기반의 대리상 방식을 채택하는 경우가 많다.

중국 아스팔트 제조 전문업체로는 바오리아스팔트(宝利沥青), 궈창가오신(国创高新), 췬캉아스팔트(群康沥青) 등이 있는데 대부분 민영기업으로 고속도로, 일반도로, 고가도로, 교량 노면 등에 활용되는 아스팔트를 취급하고 있다. 바오리아스팔트는 도로용 석유 아스팔트와 개질 아스팔트 등을 판매하고 있고, 췬캉아스팔트는 주로 컬러 아스팔트와 도로포장 유지보수 재료를 판매하고 있다. 현재 중국 내 아스팔트 제조 전문업체 수는 많으나 규모가 작은 업체가 많고, 선진국의 성숙시장에 비해 산업 집중도가 낮고 핵심 경쟁력이 부족한 편이다.
주요 아스팔트 제조 전문업체

유통구조
아스팔트 업종의 업스트림은 석유화학공업, 석탄과 개질제 및 유화제, 석유정제 생산물로서 건축, 기초인프라에 활용됨. 다운스트림은 고속도로, 방수건축재료, 공항건설과 도시공정 도로건설 관련으로 그중 도로 건설이 아스팔트 소비량 중 82%에 달한다.
기업간 유통구조로는 주로 국내외 석유화학 및 정제회사에서 시작되어 아스팔트제조전문업체에서 제품을 생산하고 건축자재 시장, 자재 업체를 통해 시공회사 등으로 유통된다.
중국내 지역간 물류운송은, 주로 석유화공 생산능력이 동부연해 지역에 집중되어 있고 동부의 도로망은 점차 완비되어 가는데, 중서부 지역은 공급이 부족하고 수요량이 증가하는 상황으로, 동부에서 생산되어 서부지역 등 신규 인프라 건설지역으로의 유통이 진행되고 있음. 유통운송수단으로는 주변 지역은 차량운송이 많은 편이고 원거리는 선박, 철도로 운송하고 있다.

수입동향
중국 석유아스팔트 제품의 해외수입액 추세를 보면, 2016년 10.45억달러에서 2019년 17.71억달러로 3년간은 평균 20.8%의 상승세를 보이다가 2020년 15.57억달러로 12.5% 하락하였고 2021년은 12.93억달러로 전년대비 16.6% 감소하였다.

2021년의 경우, 중국의 최대 수입국은 한국과 싱가포르로서 전체 금액 중 수입비중이 각각 53.7%, 32.4%로 양국 합계가 86.1%를 차지하고, 그외 국가로는 말레이시아, 태국, 이라크, UAE 등이 다음 순위를 기록하고 있다

관세율•인증

요약 및 시사점
석유아스팔트는 원유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생겨난 부산물의 일종으로 일반적으로 도로 철도 항공 등 교통분야 건설업, 제조업 등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도로건설이 아스팔트 수요가 가장 많은 분야인데, 2015년부터 전국도로 총길이(km)는 지속 확장되어 2020년까지 연평균 2.58%씩 증가율을 보였으며, 도로의 품질 등급이 상승하면서 도로에 사용되는 아스팔트도 지속적으로 개량 개선 및 업그레이드되고 있다.
중국경제의 성장, 도시화 확대진전, 자동차 이용 증가, 여행산업 발전 등 여러요인에 의해 도로인프라 건설 수요가 확대되어 왔고 주로 동부연해지역은 비교적 인프라가 완비되어 가는 편이며, 중서부지역은 도로건설 및 아스팔트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동부지역에서 제조생산하여 서부지역에 공급하는 추세를 보여 왔다.
최근 3년간 코로나19 의 영향이 있었으나, 향후 관련 통제가 완화되고 물류 관광 유통이 회복될 경우 그리고 위축된 경제 부양을 위한 정부의 인프라 건설 투자가 동반될 경우 도로 인프라 건설의 확대와 아스팔트 수요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까지는 글로벌 다국적 오일 기업이 브랜드 자본 기술에서 우위에 있어 석유화학 시장에서 영향력을 가지고 있고 중국의 대형 석유기업, 중국 아스팔트 전문제조기업 등 다수 참여자들이 시장에서 활약하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정부는 석유화학 산업 정책에서 2025년까지 중국 로컬기업들의 고품질 발전 자주혁신능력 및 자립경쟁력강화를 목표로 제시하고 있고 환경오염 영향가능성이 큰 석유화학산업에서 에너지효율 수준 제고와 녹색 발전, 탄소 배출 저감을 강조 중시하고 있다.
중국의 로컬기업과 시장참여자들은 정부정책방향에 맞추어 친환경, 신소재, 저탄소, 에너지 효율 등의 방향에 맞추어 비즈니스를 추진하고 해외 수입이나 해외기업 기술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시장점유율을 확대하는 것을 최우선 과제로 추진할 것이 예상된다.
자료: 관옌보고(观研报告), 관옌텐샤 데이터 센터(观研天下数据中心), 즈옌즈쉰(智研咨询), 줘촹쯔쉰(卓创资讯), 바이두,한국무역협회(KITA), 국가통계청(国家统计局), 각 업체 홈페이지, 정부 홈페이지 및 KOTRA 샤먼무역관 자료 종합
<내용 출처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저작권자 ⓒ 인포플러스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은지 다른기사보기